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부동산제도
- ac68u
- ac1900
- APA-2000
- 3d프린터
- CLP-325WK
- Windows XP 설정
- 아이폰 사진정리
- 포렌식
- 스크립트 편집기
- wifi printer
- 중국심리
- 벽돌
- 아수스
- 원격데스크탑
- 옛자료
- 아이폰 복원
- 라즈베리파이 라즈비안
- 잠자기 방지
- DFU
- 카카오톡 기기변경
- 앱 아이콘 바꾸기
- iPhone backup
- 잠긴속성풀기
- 아이폰 기타용량
- 항공 좌석 이코노미
- mathlab
- 아이폰
- 공유기
- 원격동기화
Archives
- Today
- Total
살며 사랑하며
윈도우 7 하드에서 설치하기 본문
DVD 없이 비스타 설치하기 글에서 윈도우 7도 된다고 말씀드렸는데 요즘 윈도우 7 빌드업이 활발히 되면서 자주 설치하시는 분들이 많으실 것 같아 이렇게 따로 글을 올립니다.
(비스타를 하드에서 설치하시려면 이 방법과 약간 다르므로 위 링크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기본적으로 하드에서 설치하는 방법으로는 데몬 같은 가상 CD롬 드라이브에 마운트 시킨 다음에 설치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 방법의 단점은 C드라이브를 포멧하고 설치하는 클린설치가 불가능하다는 것입니다.
또한 32비트 OS에서는 64비트 설치가 불가능합니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가상 드라이브에 마운트해 설치하는 것 보다 이 방법으로 설치하시는 쪽을 추천드립니다.
C 드라이브를 포멧하고 설치할 수도 있고 DVD에 구워서 설치하는 것보다 훨씬 빠릅니다.
그리고 현재 32비트 OS를 사용하고 있더라도 64비트 윈도우 7을 설치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또한 매번 새로운 빌드가 나올 때 마다 DVD에 굽는것은 자원낭비라고 할 수 있죠 ^^;;
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우선 윈도우 7 원본을 하드디스크로 전부 복사합니다.
(참고로 실제로 필요한 폴더는 BOOT 폴더와 SOURCES 폴더 그리고 BOOTMGR 파일입니다. 나머지는 클린설치에 필요없습니다.)
주의하실 점은 반드시 하드디스크 루트에 복사해야 한다는 것과
C 드라이브가 아닌 다른 드라이브에 복사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루트에 복사해야 하는 이유는 제가 첨부해드리는 파일이
하드디스크의 가장 바깥쪽에 윈도우 원본이 존재한다는 것을 전제로 만들어졌기 때문입니다.
만약 Win7 이라는 폴더를 만들고 그 안에 원본을 넣어버리면 제가 첨부해드린 파일로는 절대로 부팅되지 않습니다.
반드시 폴더 속이 아닌 하드디스크의 가장 바깥쪽에다 원본을 복사해야 합니다.
C가 아닌 다른 드라이브에 복사해야 하는 이유는 뭐 당연하겠지만 C 드라이브를 포멧하고 클린설치 하기 위함입니다.
복사를 완료하셨으면 이제 방금 복사한 원본파일 중에 bootmgr 파일의 이름을 snoopy로 변경해줍니다.
변경해줘야 하는 이유는 기존에 비스타나 윈도우 7을 사용하고 계신 분들은 C 드라이브에 bootmgr 파일이 있는데
여기에도 bootmgr이 있기 때문에 구분을 해주기 위해서 변경합니다.
반드시 변경해야 합니다. 제가 첨부해드리는 파일은 snoopy 이름을 기준으로 부팅되는 파일이기 때문입니다.
이제 이 파일을 실행하시면 윈도우 7 설치가 시작됩니다.
비스타나 윈7 유저는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세요.
그래도 안되면 버추얼 FDD 문제 (구버전) 라서 어쩔 수 없습니다.
MBR 초기화 해주면 될겁니다.
이 파일로 부팅이 되지 않아서 수동으로 하시려면 GRUB로 부팅하셔서
find --set-root /snoopy
chainloader /snoopy
boot
하시면 설치가 시작됩니다.
계속 진행하겠냐는 물음에 확인 누르시면 재부팅 된 다음 윈도우 7 설치가 시작됩니다.
정말 간단하죠?
여러분들이 하실 일은 원본을 복사하는 것과, snoopy로 이름을 바꾸는 것, 그리고 첨부해드린 파일을 실행시키는 것 밖에 없습니다.
설치를 다 마치고 복사해놓은 원본은 필요없기 때문에 지우시면 됩니다.
BOOT 폴더
SOURCES 폴더
SNOOPY 파일
이상으로 허접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 추가한 포멧하는 방법
파티션 삭제와 분할 작업도 가능합니다.
(참고로 포멧은 괜찮은데 파티션 작업을 위해 이 방법을 사용하시는 것은 추천하지는 않습니다. 왜냐하면 100MB짜리 파티션이 강제로 생성되는데 나중에 귀찮은 문제를 유발할 수도 있기 때문에 파티션 작업은 비스타 DVD나 파티션 매직으로 하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비스타를 하드에서 설치하시려면 이 방법과 약간 다르므로 위 링크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기본적으로 하드에서 설치하는 방법으로는 데몬 같은 가상 CD롬 드라이브에 마운트 시킨 다음에 설치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 방법의 단점은 C드라이브를 포멧하고 설치하는 클린설치가 불가능하다는 것입니다.
또한 32비트 OS에서는 64비트 설치가 불가능합니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가상 드라이브에 마운트해 설치하는 것 보다 이 방법으로 설치하시는 쪽을 추천드립니다.
C 드라이브를 포멧하고 설치할 수도 있고 DVD에 구워서 설치하는 것보다 훨씬 빠릅니다.
그리고 현재 32비트 OS를 사용하고 있더라도 64비트 윈도우 7을 설치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또한 매번 새로운 빌드가 나올 때 마다 DVD에 굽는것은 자원낭비라고 할 수 있죠 ^^;;
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우선 윈도우 7 원본을 하드디스크로 전부 복사합니다.
(참고로 실제로 필요한 폴더는 BOOT 폴더와 SOURCES 폴더 그리고 BOOTMGR 파일입니다. 나머지는 클린설치에 필요없습니다.)
주의하실 점은 반드시 하드디스크 루트에 복사해야 한다는 것과
C 드라이브가 아닌 다른 드라이브에 복사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루트에 복사해야 하는 이유는 제가 첨부해드리는 파일이
하드디스크의 가장 바깥쪽에 윈도우 원본이 존재한다는 것을 전제로 만들어졌기 때문입니다.
만약 Win7 이라는 폴더를 만들고 그 안에 원본을 넣어버리면 제가 첨부해드린 파일로는 절대로 부팅되지 않습니다.
반드시 폴더 속이 아닌 하드디스크의 가장 바깥쪽에다 원본을 복사해야 합니다.
C가 아닌 다른 드라이브에 복사해야 하는 이유는 뭐 당연하겠지만 C 드라이브를 포멧하고 클린설치 하기 위함입니다.
복사를 완료하셨으면 이제 방금 복사한 원본파일 중에 bootmgr 파일의 이름을 snoopy로 변경해줍니다.
변경해줘야 하는 이유는 기존에 비스타나 윈도우 7을 사용하고 계신 분들은 C 드라이브에 bootmgr 파일이 있는데
여기에도 bootmgr이 있기 때문에 구분을 해주기 위해서 변경합니다.
반드시 변경해야 합니다. 제가 첨부해드리는 파일은 snoopy 이름을 기준으로 부팅되는 파일이기 때문입니다.
이제 이 파일을 실행하시면 윈도우 7 설치가 시작됩니다.
비스타나 윈7 유저는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세요.
그래도 안되면 버추얼 FDD 문제 (구버전) 라서 어쩔 수 없습니다.
MBR 초기화 해주면 될겁니다.
이 파일로 부팅이 되지 않아서 수동으로 하시려면 GRUB로 부팅하셔서
find --set-root /snoopy
chainloader /snoopy
boot
하시면 설치가 시작됩니다.
계속 진행하겠냐는 물음에 확인 누르시면 재부팅 된 다음 윈도우 7 설치가 시작됩니다.
정말 간단하죠?
여러분들이 하실 일은 원본을 복사하는 것과, snoopy로 이름을 바꾸는 것, 그리고 첨부해드린 파일을 실행시키는 것 밖에 없습니다.
설치를 다 마치고 복사해놓은 원본은 필요없기 때문에 지우시면 됩니다.
BOOT 폴더
SOURCES 폴더
SNOOPY 파일
이상으로 허접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 추가한 포멧하는 방법
파티션 삭제와 분할 작업도 가능합니다.
(참고로 포멧은 괜찮은데 파티션 작업을 위해 이 방법을 사용하시는 것은 추천하지는 않습니다. 왜냐하면 100MB짜리 파티션이 강제로 생성되는데 나중에 귀찮은 문제를 유발할 수도 있기 때문에 파티션 작업은 비스타 DVD나 파티션 매직으로 하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OS 다루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구 파티션 삭제하기 (4) | 2011.02.21 |
---|---|
비스타에서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이 안될 때 (0) | 2009.11.18 |
Windows7 64bit 설치 (0) | 2009.07.01 |
원격 데스크탑(터미널 서비스) 포트번호 바꾸기 (0) | 2009.05.30 |
윈도 정품혜택 알림(Windows Genuine Advantage Notifications) 제거 (0) | 2009.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