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공유기
- 항공 좌석 이코노미
- DFU
- 아이폰 기타용량
- APA-2000
- 3d프린터
- 원격데스크탑
- ac1900
- 잠긴속성풀기
- 옛자료
- wifi printer
- 벽돌
- 아이폰
- 잠자기 방지
- 부동산제도
- 아수스
- ac68u
- 스크립트 편집기
- 라즈베리파이 라즈비안
- 앱 아이콘 바꾸기
- 원격동기화
- Windows XP 설정
- 중국심리
- iPhone backup
- 아이폰 사진정리
- 포렌식
- mathlab
- 아이폰 복원
- CLP-325WK
- 카카오톡 기기변경
- Today
- Total
목록OS 다루기 (29)
살며 사랑하며

Firmware 디자인과 Partitioning 디자인에 대해 알아보자. (FAI를 이용한 BIOS와 GPT partition 방법 포함) Firmware designs UEFI: Unified Extensible Firmware Interface BIOS: Basic Input Output System Partitioning designs GPT: GUID Partition Table MBR: Master Boot Record UEFI EFI(Extensible Firmware Interface)를 확장한 것이 UEFI 이다. 1990년대 중반 인텔은 IBM BIOS 방식의 firmware interface가 너무 제한적이어서 1998년에 EFI을 개발하기 시작했다. 2005년 EFI 개발을 중단하고 ..
kali live로 부팅하고 터미널에서 작업한다. # root로 전환 $ sudo -i # grub가 설치될 /boot영역 찾기 $ fdisk -l # 리눅스가 어디에 설치되었는지 확인 # /dev/sdc3에 설치 되어있었다. # 해당 파티션 마운트 $ mount /dev/sdc3 /mnt # file system으로 마운트 $ mount --bind /dev/ /mnt/dev # chroot를 사용하여 루트폴더로 전환! $ chroot /mnt # grub재설치 $ grub-install /dev/sdc $ grub-install --recheck /dev/sdc # 언마운트 후 재부팅!_! $ umount /mnt/dev $ umount /mnt/boot $ umount /mnt $ reboot

구글 크롬 사이트에서 deb 계열로 다운로드 한다. 먼저 다음 명령으로 의존성 파일을 강제 설치한다. apt-get -f install 여기서 f 옵션은 망가진 의존성 패키지가 있는 시스템을 정정하는 옵션이다. 다운로드 한 크롬을 설치한다. dpkg -i google-chrome-stable_current_amd64.deb dpkg는 데비안 패키지 관리 시스템의 기초 소프트웨어이다. dekg 명령어로 .deb 패키지의 설치, 삭제, 정보제공을 할 수 있다. 여기서 -i 옵션은 설치(install) 옵션이다. 이렇게 설치 한 후 google-chrome를 입력해서 실행하면 실행되지 않는다. 크롬은 일반 사용자에서만 실행 할 수 있기 때문이다. root사용자가 사용할수 있게 설정 한다. # vi /usr/b..
~# apt-get update ~# apt-get install fcitx-hangul ~# apt-get install fcitx-lib* ~# apt-get install fonts-nanum*

마이크로소프트와 마이크로소프트의 테크넷은 UEFI 시스템 파티션 구성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했습니다. 관련 링크: [MSDN] UEFI/GPT 기반 하드 드라이브 파티션 구성 [Technet] UEFI 기반 디스크 파티션 권장 구성 [MSDN] UEFI/GPT-based hard drive partitions ← 20170307 추가 - 첫번째 링크에서는 대부분의 시스템에서 복구 파티션을 250-300MB 크기로 권장합니다. 복구 도구 파티션 이 파티션은 300MB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 파티션에는 Windows 복구 환경 도구 이미지(winre.wim, 기본 언어 및 추가된 사용자 지정 항목에 따라 250-300MB 사이)에 대한 공간과 파티션을 백업 유틸리티가 캡처하기에 충분한 여유 공간이 있어..
윈도우10 1903 대비 공간 확보 팁 세상에 완벽한 것은 없다만, 사용자 문서 파일을 지워버렸던 윈도우 10 1809 업데이트의 충격은 상상 이상이었다. 결국 마이크로소프트도 보안업데이트처럼 필수 업데이트를 제외하면 홈 버전 사용자도 업데이트 연기를 가능하게 하겠다는 계획을 밝혔으며, 조만간 공개될 윈도우 10 1903 업데이트, 정식명칭 윈도우 10 2019년 5월 업데이트부터 해당 옵션이 제공된다. 하지만 이번 윈도우 10 1903 업데이트에는 한가지 중대한 변경 사항이 있는데, 바로 최소 설치 공간 요구 사항이 최대 두 배까지 늘었다는 것. 구체적인 원인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2015년 등장이후 업데이트된 기능들을 포함하고 향후 미래 업데이트까지 대비한 설계 변경이 이뤄지지 않았을까 생각되는 대목..

라즈베리파이 커널 부팅 명령어 설정 cmdline.txt 라즈베리파이 하드웨어의 다양한 기능을 제어하는 중요한 파일이 "/boot/cmdline.txt" 파일이다. 이 파일은 커널 모드 라인(라즈베리파이가 부팅될 때 리눅스 커널에 전달되는 옵션들)을 담고 있다. 콘솔의 외관을 바꾸거나 로딩 할 커널을 지정하는 등의 커널 옵션들을 cmdline.txt 파일에서 설정할 수 있다. dwg_otg.lpm_enable : 라즈베리파이의 USB 컨트롤러로 하여금 OTG(On-The-Go) 모드를 비활성화하도록한다. 운영체제의 적절한 지원 없이 해당 기능이 활성화 되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대부분의 라즈베리파이 리눅스 배포판들은 이 모드를 비활성화 한다. console : 리눅스에게 지정 속도 동작하는 직렬 콘솔..

윈도우에서 Remote Desktop을 이용해서 라즈베리파이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xrdp 서버를 설치 해야 한다. RDP(Remote Desktop Protocol)은 GUI형식으로 다른 PC에 원격접속을 할 목적으로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개발한 프로토콜이다. 윈도우에 기본적으로 리모트 데스크탑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깔려 있으며 라즈베리파이에 xrdp 서버만 설치하면 된다. xrdp는 오픈소스 진영에서 rdp를 리눅스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프로그램이다. 1. 라즈베리파이에 xrdp 서버 설치 'sudo apt-get update'와 'sudo apt-get upgrade'를 통해 업데이트를 먼저 하고, xrdp 서버를 라즈베리파이에 설치하기 위해 다음을 입력한다. pi~$ sudo apt-get in..